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하반기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지투지바이오(G2GBIO)**입니다. 바이오 업계 특유의 혁신 기술력과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그리고 공모주 시장에서의 높은 관심이 맞물리며 많은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투지바이오의 기업 개요, 핵심 기술, 공모주(IPO) 정보와 향후 전망까지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지투지바이오란?

     

    지투지바이오는 2017년 설립된 바이오 제약 기업으로, 이름 그대로 “Good to the Globe Biotech Company”, 즉 전 세계 인류의 건강에 기여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2024년 기술성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고, 2025년 8월 14일 드디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현재 지투지바이오가 집중하는 분야는 **약효 지속형 주사제(LAIs, Long Acting Injectables)**입니다. 이는 환자가 자주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약효의 안정성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의약품 플랫폼으로 평가됩니다.


    핵심 기술: InnoLAMP와 InteLAMP

     

    지투지바이오의 경쟁력은 자체 개발한 플랫폼 기술에 있습니다.

    • InnoLAMP (Innovation Long Acting Microparticle Platform)
      기존 에멀전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약효가 오래 지속되면서도 균일한 방출이 가능한 미립구 기반 플랫폼입니다. 이 기술은 다양한 치료제에 적용 가능해 파이프라인 확장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InteLAMP
      항암제 분야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약물이 종양 조직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덕분에 부작용은 줄이고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타겟팅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기술은 지투지바이오가 단순한 신약 개발 기업이 아니라 플랫폼 중심의 바이오 기업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글로벌 협력: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계약

     

    지투지바이오는 2025년 7월, 독일의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지투지바이오 기술력이 세계적인 제약사에서도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시장의 신뢰를 크게 끌어올린 사건입니다.

     

    협력 분야는 알츠하이머, 당뇨, 비만, 수술 후 통증 관리 등으로 확장될 예정이며, 글로벌 임상과 상업화를 통한 장기 성장 동력 확보가 기대됩니다.


    재무 현황과 리스크 요인

     

    바이오 기업 특성상 지투지바이오는 아직 본격적인 매출 창출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 2023년 기준 매출 약 7억 원
    • 영업손실 약 105억 원, 순손실 약 103억 원 기록

    또한 2025년 초에는 비만치료제 관련 특허가 취소되는 이슈도 있었습니다. 다만 회사 측은 핵심 사업에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고, 오히려 플랫폼 기술 자체의 확장성으로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공모주(IPO) 정보 정리

     

    지투지바이오의 공모주 청약은 뜨거운 관심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수요예측: 2025년 7월 25일~31일
    • 희망 공모가: 48,000원 ~ 58,000원
    • 최종 확정 공모가: 58,000원 (상단 확정)
    • 공모금액: 약 522억 원 조달 성공

    상장일은 2025년 8월 14일이었으며, 상장 직후 유통 가능한 주식 수는 전체 발행 주식 약 537만 주 중 약 189만 9천 주(35.39%)였습니다.

     

    특히, 한 달 후 재무적 투자자(FI) 락업 해제가 예정되어 있어 유통 물량 증가에 따른 주가 변동성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와 전망

     

    지투지바이오의 투자 매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독보적인 플랫폼 기술력
      InnoLAMP와 InteLAMP는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장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장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글로벌 파트너십 기반 성장성
      베링거인겔하임과의 협력은 지투지바이오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 기술 수출을 넘어 공동 개발과 상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재무적 적자, 특허 이슈, 락업 해제 이후의 변동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따라서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하며, 단기 시세 차익보다는 임상 진행과 기술 상용화 진척에 따라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마무리

     

    **지투지바이오(G2GBIO)**는 아직 매출이 크지 않지만, 플랫폼 기술과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이라는 두 축을 통해 성장성을 인정받은 기업입니다. 공모주 시장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은 만큼, 향후 임상 진척과 파이프라인 확장이 기업가치의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

     

    바이오 투자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지투지바이오의 기술력, 글로벌 협력, 그리고 IPO 이후 주가 흐름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