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창업 배경 및 출범

     

    KT는 1981년 12월 10일, **한국전기통신공사(Korea Telecommunication Authority, KTA)**로 설립되었습니다. 당시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전기통신 기능이 분리된 공기업 형태였고, 한국 통신 역사에서 통신 기반 현대화의 출발점이었습니다.

     

    민영화를 거쳐 2001년 12월에는 공식적으로 사명을 ㈜KT로 변경하며, 2002년 5월 완전 민영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초기에는 유선전화 중심이었지만 이후 초고속 인터넷, 무선통신, IPTV 등 다양한 ICT 서비스로 확장했습니다.


    2. KT 성장 과정 및 핵심 이정표

     

       연도            주요 이정표

     

    1981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 (공기업)
    1982 삐삐 (무선호출기) 서비스 시작
    1984 TDX-1 전자교환기 세계 10번째 개발
    1994 SK텔레콤 전신인 이동통신 자회사 매각
    1997 KTF 설립, 무선통신 재진입
    1998 유가증권시장 상장
    2001 사명 KT로 변경, 민영화 절차 진행
    2009 KTF와 합병 → 유무선 통합
    2011 IPTV “olleh TV” 브랜드 통합
    최근 5G, 클라우드, AI 등 디지털 플랫폼 사업 강화

    3. 주요 사업 영역 및 계열사 구조

     

    KT는 통신을 중심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으며, 다양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 유·무선 통신: 초고속 인터넷, 5G 이동통신, IPTV
    • 플랫폼 & 콘텐츠: Genie Music, IPTV 서비스, KT Studio Genie
    • 기업 서비스(B2B): 클라우드, AI/DX, AI 서비스, 데이터센터
    • 금융·커머스·ICT 융합: 홈 IoT,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인프라

    대표 계열사

    • Genie Music: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KT 자회사
    • Genie TV: 전 IPTV 브랜드 olleh TV에서 리브랜딩한 방송 플랫폼
    • KT Studio Genie: 2021년 설립된 콘텐츠 제작사, 드라마·TV IP 중심
    • 기타: KT SAT, KT IS, KT M&S, KT CS 등 유통과 ICT 서비스 계열사

    4. KT 경영 계보 (1대 → 3대)

     

    KT는 공기업 시절부터 전문경영 체제를 갖춰왔으며, 주요 경영인 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대 CEO – 이계철 외(1990년대)
      • 초기 민영화와 구조조정 주도·공기업에서 민간 기업으로의 변화 관리
    2. 2대 CEO – 이준·이용경·이상철 등 (2000년대)
      • 민영화 완성과 KTF 합병 주도, 다양한 통합 서비스 및 시장 확대
    3. 3대 CEO – 이영경 (Lee Yong-kyung)
      • 과학기술·R&D 전문가로 KT 프리텔, 연구개발 본부 거친 후 2002년 CEO 취임
      • 기술 기반 혁신 및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에 기여

    현재는 김영섭 대표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 전환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5. KT의 현재와 미래 전략

     

    KT는 이제 단순 통신사를 넘어 **AICT 기업(AI + ICT)**을 지향합니다.

    • 디지털 전환(AI) 중심: AI, 클라우드, IoT, 빅데이터 기반 B2B 사업 강화
    • 콘텐츠 플랫폼 강화: Genie Music, Studio Genie 등 콘텐츠 사업 확장
    • 신사업 연계: 스마트시티·UAM·미디어·로봇 등 융합형 신사업 추진

    종합 정리

     

    KT는 1981년 공기업으로 출범해 민영화를 거치며 유·무선 통신, 미디어,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해왔습니다.

    • 창립기: 공기업 → 민영화 → 산업 기반 마련
    • 성장기: KTF 합병, 통합 브랜드 구축
    • 혁신기: AI, 콘텐츠, 플랫폼 중심 디지털 기업으로 변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