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재건축 정밀안전진단 통과 사례 총정리 (2025년 기준)

myblug2 2025. 8. 2. 09:40
반응형

최근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빠른 사업 추진 기대감으로 인해 여러 단지에서 **정밀안전진단을 통과(최종 E등급 또는 D등급 적정성 검토 통과)**하며 재건축 추진이 활발합니다. 아래에서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통과 배경과 향후 절차 흐름을 정리해 드립니다.


✅ 주요 사례: 최근 정밀안전진단 통과한 단지들

 

① 목동 9단지 (양천구)

  • 1987년 준공, 약 2,030가구(32동, 최고 15층)의 대규모 단지
  • 2020년엔 1차 안전진단 D(조건부), 공공기관 적정성 검토에서 C등급 유지보수로 탈락
  • 하지만 2025년 정밀안전진단에서 E등급(재건축 확정) 통과
  • 목동 신시가지 14개 단지 중 13곳이 통과하며 재건축 본격 운영 개시 

② 상계주공10단지 (노원구)

  • 1988년 준공, 2,654가구 대단지 아파트
  • 2024년 12월 정밀안전진단 통과해 재건축 추진이 본궤도에 진입
  • 최고 49층, 4,000여 가구 규모로 재건축 계획 중 

③ 수서 한솔아파트·청솔빌리지 (강남구)

  • 수서택지개발지구 단지들로, 2025년 3월 정밀안전진단 최종 통과
  • 가람아파트도 통과 후 신속통합기획(패스트트랙) 상정 준비 중 

④ 양재우성아파트 (서초구)

  • 1991년 준공, 848세대 규모
  • 2025년 2월 정밀안전진단 최종 통과하고 재건축 추진 속도 증가 

⑤ 광명 하안주공1~12단지·철산우성A (광명시)

  • 총 13개 단지, 1990년대 준공
  • 주민 갈등 완화 및 시비 30억 확보하여 2024년 정밀안전진단 조건부 통과(D등급)
  • 정비계획 수립 단계로 진입하며 신도심 정비 환경 기대감 높음 

🧭 통과 배경 요약 및 흐름

 

✔ 안전진단 기준 변화 영향

  • 2025년부터 구조안전·주거환경 중심 평가로 패러다임 전환
  • 목동 9단지의 경우, 이전엔 공공기관 적정성 검토에서 탈락했지만 기준 완화로 통과 사례로 이어짐 

✔ 패스트트랙·신속통합기획 활용

  • 일부 단지는 정밀진단 통과 이후 패스트트랙 절차를 골자로 한 신속통합기획 적용
  • 광명 하안단지 등은 지구단위계획을 병행해 사업성 강화 중 

✔ 지자체 주도 정비계획 수립 적극적

  • 광명시와 노원구, 양천구 등은 정비계획 수립과 정비구역 지정 속도를 높이며 행정 지원을 확대 중 

🧩 요약 비교표: 정밀안전진단 통과 사례

 

   단지명              위치    준공연도 가구수 / 규모  통과 시점   통과 등급        특징 요약

 

목동 9단지 양천구 1987년 약 2,030세대 2025년 1월 E등급 통과 안전진단 기준 완화 후 재건축 확정
상계주공10단지 노원구 1988년 2,654세대 대단지 2024년 12월 D등급(적정성 검토 통과) 재건축 추진준비 단계 진입
수서 한솔·청솔빌리지 강남구 택지개발지구 소규모 주거단지 2025년 3월 통과 패스트트랙 기반 정비계획 추진
양재우성아파트 서초구 1991년 848세대 2025년 2월 통과 추진위 구성→정비계획 수립 진행 중
광명 하안1~12·철산우성A 광명시 1990년대 13개 단지 대상 2024년 7월 D등급 통과 주민 갈등 조정 → 판정 통과
 

📈 통과 후 절차 및 투자 포인트

 

  1.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
    → 패스트트랙 또는 신속통합기획 활용 여부 확인
  2. 조합 설립 및 인가 절차
    → 추진위원회 구성, 동의율 확보 전략 마련
  3. 관리처분계획 수립 및 분담금 추정
    → 정밀안전진단 통과 이후 분양 예상가 흐름 분석
  4. 이주 및 철거, 착공 준비
    → 이주비 계획, 시공사 선정, 청약 일정 모니터링
  5. 입주권 가치 전망
    → 입주권 웃돈 형성 여부 및 주변 신축 시세와 비교

✍ 결론

 

2025년 현재 목동, 상계, 강남, 광명 등에서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단지들은 기준 완화와 정비 계획 수립 시스템 개선 덕분에 사업 추진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자와 조합원 모두에게는 조합 설립 시점 접근, 분담금 구조 예측, 입지 및 규제 대응 전략이 중요해졌으며, 이에 따라 사업 초기 단계부터 전략적 정보 관리가 필요합니다.


🎯 FAQ

 

Q1. 정밀안전진단 통과 등급은 E가 좋나요?
→ 네, E등급은 재건축 확정 판정이며, D등급은 조건부 재건축으로 적정성 검토 필요합니다.

 

Q2. 예전엔 D등급이었는데 지금은 E등급으로 바뀐 단지도 있나요?
→ 네, 목동 9단지처럼 이전 D→C 판단되었던 단지가 기준 변경 이후 E등급 통과 사례가 있습니다.

 

Q3. 안전진단 통과 후 다음 단계는 어떻게 되나요?
→ 정비구역 지정, 조합 설립 인가, 관리처분 계획 수립, 이주 및 철거 순으로 진행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