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재건축 임시 거주비 비용 총정리

myblug2 2025. 8. 12. 13:46
반응형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기존 거주자들은 철거 전 이주를 해야 합니다.
이 시기에 발생하는 **임시 거주비(이주비)**는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가 반드시 계산해야 할 중요한 비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건축 임시 거주비의 개념, 평균 비용, 지원 제도, 절약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재건축 임시 거주비란?

 

재건축 사업에서 임시 거주비는 기존 주택 철거 후 준공까지 거주할 임시 주거지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보통 조합에서 ‘이주비 대출’을 지원하지만, 실제 생활비 부담은 개인 상황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2. 임시 거주 기간

 

재건축의 평균 공사 기간은 30~36개월입니다.
철거 이후 입주까지 약 2년 반~3년 동안 다른 곳에 거주해야 하므로, 월세 또는 전세를 구해야 합니다.


3. 임시 거주비 산정 방식

 

임시 거주비는 거주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1) 전세 선택 시

  • 전세보증금은 대체로 기존 주택 평가금액을 담보로 대출 가능
  • 수도권 기준 전세보증금 평균: 1억 5천만 원~3억 원

(2) 월세 선택 시

  • 서울 재건축 단지 주변 월세: 보증금 1,000만~3,000만원 / 월 80만 ~ 150 만원
  • 3년 거주 시 월세 총액만 3천만~5천만 원 이상 소요

4. 조합의 이주비 대출

 

대부분의 재건축 조합은 이주비 대출 제도를 운영합니다.

  • 주택 담보 비율: 통상 60~70%
  • 금리: 2025년 기준 연 4~5% 수준
  • 원리금 상환: 준공 시 분담금과 함께 상환

 

예시
기존 주택 감정가 5억 원 × 70% = 3억 5천만 원 대출 가능
이 금액으로 전세보증금 또는 월세 보증금을 마련 가능


5. 실제 임시 거주비 계산 예시

 

서울 강남권 재건축 A단지의 경우:

  • 무주택 세대, 전세 선택
  • 전세보증금 3억 원, 이주비 대출 2억 5천만 원
  • 부족분 5천만 원은 본인 자금 투입
  • 관리비·공과금 포함 월 30만 원 × 36개월 = 약 1,080만 원

총 임시 거주비 부담 = 전세 자금 마련 비용 + 생활 관리비 합산


6. 임시 거주비 절약 팁

 

(1) 인근 지역 소형 전세·월세 찾기

  • 같은 학군·생활권 내에서도 비슷한 환경의 저렴한 주택이 존재
  • 특히 재개발 예정지 인근 다세대·빌라 활용 가능

(2) 전세자금 대출과 이주비 대출 병행

  • 조합 이주비 대출 외에 전세자금 대출 활용 시 자금 여유 확보
  • 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확인 필수

(3) 가족·지인 거주지 활용

  • 임시로 무상 또는 저가로 거주 가능하다면 상당한 절약 효과

7. 임시 거주비 관련 유의사항

 

  • 대출 금리 상승 위험: 장기간 이자 부담이 예상되므로 고정금리 여부 확인
  • 이주 시점 조율: 조합별 이주 기간이 짧아 계약 타이밍이 중요
  • 중도 퇴거 위약금: 재건축 기간이 단축될 경우 월세 계약 중도 해지 위약금 발생 가능

8. 결론

 

재건축 임시 거주비는 단순히 월세·전세비용이 아니라, 이주비 대출 이자 + 생활비 + 계약 리스크까지 포함한 종합 비용입니다.
특히 재건축 투자자는 수익률 계산 시 임시 거주비를 빼고 순수익을 산출해야 하며, 실수요자는 생활 여건과 학군 유지 여부를 고려한 임시 주거지 선택이 필수입니다.

 

 
반응형